평창신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평창신문

메뉴 리스트

    • 분류 전체보기 N
      • 뉴스 N
        • 강원뉴스 N
        • 평창뉴스 N
        • 주요뉴스 N
        • 영상뉴스
        • 육아,학교
        • 기획&상상
        • 군민정보
        • 의회소식 N
        • 문화소식
        • 읍면,기관 N
        • 종합뉴스
        • 문학광장
        • 동화연재
        • 건강정보
        • 구인구직
        • 광고시안
        • 평창신문
      • 광고&이슈

    검색 레이어

    평창신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이야기] 평창 봉평면 전설 (태기산과 태기왕)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허균과 임세석)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일천석 최부자)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상사바위골의 목욕소)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묘사전)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세조와 문수동자)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메밀꽃과 호랑이)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도둑바위)

      2017.09.06 by _(Editor)

    [이야기] 평창 봉평면 전설 (태기산과 태기왕)

    태기산과 태기왕 태기산은 평창군 봉평면과 횡성군 둔내면에 연해 있는 해발 1261m의 산으로 이 산꼭대기에는 태기산성이라고 불리워지는 성터가 남아있고 이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옛날 부족국가시대에 왕 태기가 춘천지방에서 다른 부족에게 쫓기어 원주로 옮겼다. 이에 세력을 회복하기 위해 강릉지방의 최후의 결판을 낼 전투를 하려고 봉평 德高山(즉 태기산)에 자리를 차지하여 산성을 쌓아 만들고 병마를 훈련시켰다. 태기왕의 부하 중 와의 두 장군이 있었다. 삼형제 장군은 삼형제봉에 진을 치고 군사 3백명으로 일대를 이루고 호령 장군은 호령봉(현 會令峰)에 군사 5백명으로 진을 벌이고 있었다. 마침내 진부면 도주골(현 道師里)로부터 예국의 대국이 쳐들어 와 호령장군과 그 밑의 군사들을 전부 멸하고 태기산으..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52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허균과 임세석)

    허균과 임세석 강릉 대화땅에 임세적이라고 하는 113세 노인이 살고 있었는데 그 모습은 흡사 50세 쯤으로 보이고 시력이나 청력이 조금도 나빠지지 아니 하였다. 조선 선조 36년(1603)許筠이 이 분을 만나보기 위하여 젊은 사람의 예로서 절하고 문안을 드리자 노인의 말이, 젊어서는 갑사(조선 초 중기 각 지방에서 서울에 올라와 숙위하던 군사)에 예속되어 있다가 회갑이 되어 국적에서 떨어진 뒤 줄곧 이곳에서 살고 있다고 했다. 허균이 "노인께서는 특별히 다른 비방을 갖고 계십니까? 어떻게 이렇듯 근력이 정정하십니까?" 하니 노인의 말이 "시골 늙은이가 무슨 비방을 가지고 있겠소."했다. 허균이 다시 "그러면 무슨 약을 잡수시는지요?"하니 노인은 "일찌기 약이라곤 먹어 본 일이 없소"했다. 허균이 이상하여..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47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일천석 최부자)

    일천석 최부자 지금부터 백 수 십년 전 대화리에는 일천석을 넘는 최부자가 살고 있었다. 집이 가난하던 때에 최씨 집안에 시집을 와 살았던 황씨 할머니는 가난한 살림이지만 항상 알뜰하게 집안을 꾸려 나갔다. 어느 해 봄에 얼마 떨어져 있지 않은 중례곡으로 산나물을 캐러 갔던 황씨 할머니가 바구니를 놓고 나물을 캐다가 캔 나물들을 바구니에 담으려고 보니 큰 산단 같은 황구렁이가 나물 바구니로 들어가 도사리고 앉아 있었다. 그러나 황씨 할머니는 구렁이가 왠지 무섭게 느껴지질 않아 집으로 갖고와 장롱 속에 넣고 소중히 보관하였다. 그러자 그 후부터 가세가 번성하여 일천석을 넘는 부자가 되고 2대에 이르기까지 과거에 급제하는 영광을 누릴 수 있었다고 한다.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46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상사바위골의 목욕소)

    상사바위골의 목욕소 대화면 신리 딴봉이라고 하는 조그만 봉우리에서 약 1km 떨어진 곳에 상사바위골 이라는 곳이 있다. 옛날 이 상사바위골 아래쪽에서는 목욕소라고 부르는 조그만 못이 있었는데 이곳에 사는 여자들이 한여름에 일을 하며 흘린 땀을 씻는 장소로 이곳을 찾아 오곤 했다. 목욕소 주위엔 사람들의 눈길을 피할 수 있는 울창한 소나무 숲과 드문드문 바위들이 놓여 있었으므로 여자들이 목욕을 하기에 더 없이 좋았으며 언제부터인지 이곳에서 목욕을 하면 살결이 고와지고 마음이 맑아진다는 소문이 나기 시작해 이 마을 뿐 아니라 근처 이웃 마을로 퍼져 나갔다. 이런 소문을 듣고 가슴 부푼 사람들은 다름 아닌 동네 처녀들이었다. 하루는 이웃 마을에 '박꼴'이라고 불리는 처녀가 있었는데 이 처녀는 원래부터 얼굴은 ..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45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묘사전)

    묘사전 대화면 하안미리에 있는 땅으로 조선 세조가 오대산에서 수양할 때 고양이에게 양식을 대주기 위해 내려준 땅의 이름이라 하는데 근래까지 내려오다가 농지 분배 때 없어졌다. 세조가 오대산 상원사에서 문둥병 치료를 위해 열심히 불공을 드릴 때 였다. 하루는 법당으로 들어가려는데 절에서 키우던 고양이가 세조의 도포자락을 물어뜯고 잡아당기기에 이를 쫓으려는데 갑자기 돌개바람이 홱 불어와 법당 주렴이 걷히는데 얼핏 보니 비수를 든 자객이 숨어 있어 이를 종자로 하여금 잡게 했다. 고양이 덕분에 목숨을 건지게 된 세조는 고양이에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묘전과 묘답을 하사하여 그 은혜를 갚았다고 한다. 이와 같은 묘사전 전설은 진부면 동산리와 간평리에도 전해지고 있다.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43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세조와 문수동자)

    세조와 문수동자 조선 제 7대 세조(수양대군)는 세종의 둘째 아들이자 문종의 아우로서 1425년 문종이 승하하고 왕위가 어린 조카 단종에게 돌아가자 측근인 한명회 권남 등의 권유에 의하여 1455년 마침내 김종서 황보인 등을 죽이고 단종을 몰아 낸 후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그 후 단종의 복위운동을 했다하여 성삼문 등 사육신을 무참하게 죽이고 영월 청령포에 유배됐던 단종 마저 사약을 내려 죽이고 말았다. 이러한 그의 비인간적인 행동은 세인의 비난의 대상이 되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왕권강화와 학문 장려 등의 정책을 펴 나갔지만 어린 조카와 많은 신하들을 죽인 것으로 인하여 항상 불안감과 죄의식속에서 생활하였다. 어느날 밤 꿈에 단종의 어머니이며 문종의 아내되는형수가 나타나서 세조를 호되게 꾸짖다가 "에..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42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메밀꽃과 호랑이)

    메밀꽃과 호랑이 평창이 낳은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은 대화 봉평을 소재로 한 것으로도 너무도 유명한 소설이다. 달밤에 핀 메밀꽃을 보고 하도 하얘서 어떤 사람은 이를 냇물로 알고 바짓가랑이를 걷고 지나갔다는 말이 있다. 먼 옛날 산중에 홀어머니가 오누이를 데리고 살고 있었다. 어느 날 그 어머니는 장을 보러 가다가 그만 호랑이에게 잡아 먹히고 말았다. 두 남매까지 탐이난 호랑이는 어머니 처럼 차리고 집으로 돌아 왔다. "얘들아 문열어라. 엄마다"하는 소리가 들렸지만 호랑이의 목소리였기에 오누이는 이상한 생각이 들어 손을 내밀어 보라고 했다. 오누이가 손의 털을 보고 엄마가 아니라고 하자 호랑이는 가시밭에 갔다 왔기 때문이라고 변명했다. 이에 속아 오누이가 문을 열어 주었더니 들어 온 것은 엄마가 아..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41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도둑바위)

    도둑바위 대화면 대화 5리를 지나 반정교에서 왼편으로 들어서는 몰이골이라는 골짜기가 있으며 이곳에서 4km 정도 떨어진 금륜산 능선에는 1km 가량의 거리를 두고 모양이 거의 비슷한 높이 40m 가량의 고개에 기이한 바위가 우뚝 솟아 있는데 이 두 바위를 가리켜 암수 도둑바위라고 부른다. 그 까닭은 옛부터 이 두 개의 바위너머로부터 도적이 자주 나타나 몰이골 부락민을 괴롭히고 또한 화재가 자주 발생하므로 도둑바위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곳 금륜산 기슭에 대덕사가 세워지자 이 사찰의 명칭에 따라 두 개의 바위를 암수 대덕바위로 고쳐 부른 후부터는 흉사를 찾아볼 수 없었다고 하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39

    추가 정보

    이미지 넣기

    많이 읽은 기사

    이 시각 주요 뉴스

    페이징

    이전
    1 ··· 1732 1733 1734 1735 1736 1737 1738 ··· 1910
    다음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 주소 foresttory@naver.com
    평창신문 │등록번호 : 강원, 아00236 │발행·편집·청소년보호책임: 김동미 │주소: 중앙로126│전화 (010)4273-5711│등록 : 2018. 3. 20│최종편집:21.4.06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