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신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평창신문

메뉴 리스트

    • 분류 전체보기 N
      • 뉴스 N
        • 강원뉴스 N
        • 평창뉴스 N
        • 주요뉴스 N
        • 영상뉴스
        • 육아,학교
        • 기획&상상
        • 군민정보
        • 의회소식 N
        • 문화소식
        • 읍면,기관 N
        • 종합뉴스
        • 문학광장
        • 동화연재
        • 건강정보
        • 구인구직
        • 광고시안
        • 평창신문
      • 광고&이슈

    검색 레이어

    평창신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강감찬과 우물)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도꾸(도끼)소)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버섯봉)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청수골의 유래)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도깨비에 홀린 이야기)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용바위 전설)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여우재)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호랑바위)

      2017.09.06 by _(Editor)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강감찬과 우물)

    강감찬과 우물 지금으로부터 900여년 전 고려 초 당대의 명장인 강감찬장군이 강릉에서 원주로 한여름에 행군중 대화면 하안미를 지날 때였다. 이 일대는 늘 물이 귀하여 봄 가을에는 식수로 고생을 했는데 마침 강감찬장군이 목이 말라 물을 긷는 아낙네에게 다가가서 물을 청했으나 아낙네가 인심이 고약하여 물이 없다고 거절하자 장군이 이를 괘씸하게 여겨 이 마을에는 다시는 물이 나오지 못하도록 부적을 한 장 써 붙이고 갔다. 그 후부터 이 마을에는 우물을 파도 물이 나오지 않는다하는데 요즈음도 아무리 우물을 파도 물이 나오지 않을 뿐 아니라 한발이 조금만 있어도 강바닥이 마르기 일쑤이며 하안미에 사는 사람들은 그 때의 인심으로 지금도 놀림을 당하고 있다.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39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도꾸(도끼)소)

    도꾸(도끼)소 여 올라가면 도꾸소라는 소가 있고, 소가 이젠 다 매켜(막혀) 가지고 다리 놓아 깊지 않아요. 전설에 도꾸소라 그러는데 벼랑에서 나무 베다가 저기 이렇게, 옛날에 도꾸로 나무 베었잖아요. 도끼로 나무 베다가 도끼가 소로 뚝 떨어진가봐. 그렇게 전설을 부르더라구요.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2:09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버섯봉)

    덕수바우와 버섯봉 전설에 보면 덕수라는 분이 석이버섯을 따다가 떨어져서 사망돼서 덕수바우라고 전설을 붙인가 보더라구요. 하방림 내려가다보면은 버섯봉이라고 있죠. 버섯봉이라고 하는 것은 옛날 밭가는 버섯처럼 생겼기 때문에 바우가 버섯봉이라고 해요.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2:07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청수골의 유래)

    청수골의 유래 그 옛날에, 머 저 고을이 들면 고을이라고 그래, 고을이 옛날엔 원이잖아요. 원이 있으면 창을 갖다 두는 데가 있다대요. 창수동이라고 옛날 어른들이 그러더라구만. 계촌 3리 가면 거 옛날에 향교 터라고 그러는데, 지금도 향교 터라고 써놨죠. 향교가 거(거기)있었다구(해서)향교 터이고, 여긴 창 터다, 창 터가 여(여기) 있어서 창동이라고 그래요.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2:07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도깨비에 홀린 이야기)

    도깨비에게 홀린 이야기 어머니는 11살 먹어 돌아가시고 아버지는 7살 먹어 돌아가시고. 그리고 우리 아버지가 용바위가, 방앗간이 있었는데 거기 갔다오다가 방아 찧어 갔다오다가 쌀을 찧어 한가마니 지고 홀려 가지고, 도깨비한테 홀린가 봐요. 그래 가지고 저 산을 다 헤매가지고선 날이 샜는데, 새벽여물 끓이는데, 불이 훤하고 대내에서 부엌에서 불을 떼니 불이 환하게 비춰 가지고 불을 보고 내려왔대요. 앓다가 8월 달에 돌아가셨어요.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2:02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용바위 전설)

    용바위 전설 저 산에서 인제 장수가 참 옛날에 났는데 팥을 세 가마니 눌러 놨대요. 역적이 낳다고. 그래 죽었는데, 산에 묻었는지 하여튼 거기서 하인이 지나가다가, 참 자리를 못쓰고 있었대요. “자리는 참 좋은데, 참참.” 이러드래. 못 쓰고서 놔둔 분이 말을 잘 안 하려고 하더래. 여기 엎드려 가지고서는, 오래 엎드려서는 아무리 무섭고 그래도 고개를 들지 마라 이랬대요. 그런데 고만 무서우니깐 고개를 들었다는 거야. 장수 난 곳에서, 해서 묘인지 해서 학이 날아 가더래요. 학이 날아가서 장전이라는 곳 있잖아요 걸로 날아가고, 또 용바우는 말발자국이 또 있는데, 그건 나도 잘 모르겠네...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2:01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여우재)

    여우재 옛날 서울에 과거를 보러 가는 과객이나 장사치들이 방림면을 동서로 갈라 놓은 태기산의 지맥인 한 재를 넘노라면 백발노인이 난데없이 나타나서 길가는 행인을 괴롭히곤 하였다. 이러던 어느 겨울날에 기골이 장대한 젊은 장정 한 사람이 이 고갯길을 넘는데 고갯마루에 이르렀을 때 갑자기 흰 두루마기를 입은 백발노인이 나타나서 젊은이의 앞길을 가로 막고 나섰다. 젊은이의 눈에는 두루마기 속에 감춰진 여우의 꼬리가 보였고 이에 젊은이가 단숨에 주먹으로 노인을 때려 눕히고 나니 죽은 시체는 머리로부터 서서히 여우의 모습으로 변하기 시작하여 나중에는 꼬리까지 완전히 여우의 모습으로 변하였다고 한다. 이후부터 이 재를 여우재라 불러오게 되었다는 것이다.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2:01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호랑바위)

    호랑바위 옛날 평창 향교가 남산정 자리에 있었을 때 1년에 한 번씩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그런데 제삿날이면 어떻게 된 까닭인지 꼭 호랑이가 나타나 처녀를 물어가곤하여 모두 향교 자리가 좋지 않다고 여겨 향교를 헐어다 지금의 하3리 산기슭 아래에다가 옮겨 지었다고 한다. 그런 뒤로 아무런 변고가 없었는데 3년이 지나자 뒷산 중턱 바위 위에 죽은 처녀들의 갑사댕기와 머리카락들이 흩어져 있어 이를 주워다 호랑이의 소행을 하늘에 고하고 처녀의 넋을 빌어 주자 이후 다시는 처녀가 잡아먹힌 일이 없었다 한다. 그리하여 그 바위를 호랑바위라고 부른다는 것이다.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2:00

    추가 정보

    이미지 넣기

    많이 읽은 기사

    이 시각 주요 뉴스

    페이징

    이전
    1 ··· 1733 1734 1735 1736 1737 1738 1739 ··· 1910
    다음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 주소 foresttory@naver.com
    평창신문 │등록번호 : 강원, 아00236 │발행·편집·청소년보호책임: 김동미 │주소: 중앙로126│전화 (010)4273-5711│등록 : 2018. 3. 20│최종편집:21.4.06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