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신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평창신문

메뉴 리스트

    • 분류 전체보기
      • 뉴스
        • 강원뉴스
        • 평창뉴스
        • 주요뉴스
        • 영상뉴스
        • 육아,학교
        • 기획&상상
        • 군민정보
        • 의회소식
        • 문화소식
        • 읍면,기관
        • 종합뉴스
        • 문학광장
        • 동화연재
        • 건강정보
        • 구인구직
        • 광고시안
        • 평창신문
      • 광고&이슈

    검색 레이어

    평창신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이야기] 평창 봉평면 전설 (매지폭포)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봉평면 전설 (이율곡의 잉태)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봉평면 전설 (효부 한씨 이야기)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봉평면 전설 (태기산과 태기왕)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허균과 임세석)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일천석 최부자)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상사바위골의 목욕소)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묘사전)

      2017.09.06 by _(Editor)

    [이야기] 평창 봉평면 전설 (매지폭포)

    매지 폭포 봉평면 덕거리 덕거초등학교(폐교됨)에서 동북쪽으로 약 5Km 떨어진 계방산 줄기에 있는 폭포이다. 이 폭포의 길이는 10m 정도로 폭포수가 흘러 내리는 양쪽으로 미끄럼틀의 내려오는 난간 칸막이 모양으로 바위가 둘러 있어 마치 폭포수가 미끄럼틀을 타는 모습으로 흘러 내리고 있다. 옛날에는 폭포주위에 매화나무가 있었는데 이곳에 신선들이 내려와 놀다가 매화나무의 가지를 꺾어 폭포수에 던졌다고 하여 매지폭포라는 이름이 붙였다고 한다.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57

    [이야기] 평창 봉평면 전설 (이율곡의 잉태)

    이율곡의 잉태 봉평면 평촌리 봉산서재에는 율곡선생과 華西 李恒老선생의 신주가 모셔져 있다. 율곡선생의 신주를 이곳에 모시게 된 유래는 바로 봉평이 율곡선생의 잉태지가 되기 때문이다. 일찌기 율곡선생의 아버지인 李元秀공이 인천지방 수운판관으로 재직하고 있을 당시에 산수가 아름다운 봉평에 4년간을 살았었다. 인천에 있던 율곡선생의 아버지가 여가를 틈타 본가로 오던 중 평창군 대화면 반정(상안미)에 이르렀을때 날이 저물고 피로에 지쳐 하루 밤을 쉬어 가려고 길가의 주막집에 여장을 풀었다. 그날 밤 일찍기 혼자 몸이 되어 홀로 주막을 경영하던 주모의 꿈에 용이 가슴 가득히 안겨 오므로 이상히 여겨 홀연 꿈을 깨고 일어나 앉아 곰곰히 생각해 보았다. 주모는 이것이 틀림없이 잉태할 꿈이며 비범한 인물을 하늘이 점지..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55

    [이야기] 평창 봉평면 전설 (효부 한씨 이야기)

    효부 한씨 이야기 성이 한씨인데, 옛날에 여자는 한씨지 이름은 없었어. 청주 한씨 표창장이 지금 있어요. 시방 그 집에 가면 아버지가 편찮으셔서 횡성에 의원이 있다고 그래서 횡성에 가서 약을 지어가지고 시방 양구대미라는 재가 있어요. 시방은 차가 댕기지만 옛날엔 걸어 댕겼는데 그 양구대미가 아주 험하고 도둑놈들이 있는 곳이고 보통은 하나 둘은 못댕기고, 이런 험한 산인데 거기를 밤새 넘어 가지고 시아버지 약을 달여 들이고 공경했다 이런 얘기지. 남편이 또 앓아서 사경을 헤맬 때 단지를 해서 피를 흘려 들여서 신랑을 살려서 죽을 사람이 더 오래 살았노라 그것을 봉평의 학자들이 알아가지고 연서로 진정서를 내서 75명이 연서를 내더라고. 시방 다 있어 그래서 그 분이 효부표창을 받았지.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54

    [이야기] 평창 봉평면 전설 (태기산과 태기왕)

    태기산과 태기왕 태기산은 평창군 봉평면과 횡성군 둔내면에 연해 있는 해발 1261m의 산으로 이 산꼭대기에는 태기산성이라고 불리워지는 성터가 남아있고 이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옛날 부족국가시대에 왕 태기가 춘천지방에서 다른 부족에게 쫓기어 원주로 옮겼다. 이에 세력을 회복하기 위해 강릉지방의 최후의 결판을 낼 전투를 하려고 봉평 德高山(즉 태기산)에 자리를 차지하여 산성을 쌓아 만들고 병마를 훈련시켰다. 태기왕의 부하 중 와의 두 장군이 있었다. 삼형제 장군은 삼형제봉에 진을 치고 군사 3백명으로 일대를 이루고 호령 장군은 호령봉(현 會令峰)에 군사 5백명으로 진을 벌이고 있었다. 마침내 진부면 도주골(현 道師里)로부터 예국의 대국이 쳐들어 와 호령장군과 그 밑의 군사들을 전부 멸하고 태기산으..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52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허균과 임세석)

    허균과 임세석 강릉 대화땅에 임세적이라고 하는 113세 노인이 살고 있었는데 그 모습은 흡사 50세 쯤으로 보이고 시력이나 청력이 조금도 나빠지지 아니 하였다. 조선 선조 36년(1603)許筠이 이 분을 만나보기 위하여 젊은 사람의 예로서 절하고 문안을 드리자 노인의 말이, 젊어서는 갑사(조선 초 중기 각 지방에서 서울에 올라와 숙위하던 군사)에 예속되어 있다가 회갑이 되어 국적에서 떨어진 뒤 줄곧 이곳에서 살고 있다고 했다. 허균이 "노인께서는 특별히 다른 비방을 갖고 계십니까? 어떻게 이렇듯 근력이 정정하십니까?" 하니 노인의 말이 "시골 늙은이가 무슨 비방을 가지고 있겠소."했다. 허균이 다시 "그러면 무슨 약을 잡수시는지요?"하니 노인은 "일찌기 약이라곤 먹어 본 일이 없소"했다. 허균이 이상하여..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47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일천석 최부자)

    일천석 최부자 지금부터 백 수 십년 전 대화리에는 일천석을 넘는 최부자가 살고 있었다. 집이 가난하던 때에 최씨 집안에 시집을 와 살았던 황씨 할머니는 가난한 살림이지만 항상 알뜰하게 집안을 꾸려 나갔다. 어느 해 봄에 얼마 떨어져 있지 않은 중례곡으로 산나물을 캐러 갔던 황씨 할머니가 바구니를 놓고 나물을 캐다가 캔 나물들을 바구니에 담으려고 보니 큰 산단 같은 황구렁이가 나물 바구니로 들어가 도사리고 앉아 있었다. 그러나 황씨 할머니는 구렁이가 왠지 무섭게 느껴지질 않아 집으로 갖고와 장롱 속에 넣고 소중히 보관하였다. 그러자 그 후부터 가세가 번성하여 일천석을 넘는 부자가 되고 2대에 이르기까지 과거에 급제하는 영광을 누릴 수 있었다고 한다.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46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상사바위골의 목욕소)

    상사바위골의 목욕소 대화면 신리 딴봉이라고 하는 조그만 봉우리에서 약 1km 떨어진 곳에 상사바위골 이라는 곳이 있다. 옛날 이 상사바위골 아래쪽에서는 목욕소라고 부르는 조그만 못이 있었는데 이곳에 사는 여자들이 한여름에 일을 하며 흘린 땀을 씻는 장소로 이곳을 찾아 오곤 했다. 목욕소 주위엔 사람들의 눈길을 피할 수 있는 울창한 소나무 숲과 드문드문 바위들이 놓여 있었으므로 여자들이 목욕을 하기에 더 없이 좋았으며 언제부터인지 이곳에서 목욕을 하면 살결이 고와지고 마음이 맑아진다는 소문이 나기 시작해 이 마을 뿐 아니라 근처 이웃 마을로 퍼져 나갔다. 이런 소문을 듣고 가슴 부푼 사람들은 다름 아닌 동네 처녀들이었다. 하루는 이웃 마을에 '박꼴'이라고 불리는 처녀가 있었는데 이 처녀는 원래부터 얼굴은 ..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45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묘사전)

    묘사전 대화면 하안미리에 있는 땅으로 조선 세조가 오대산에서 수양할 때 고양이에게 양식을 대주기 위해 내려준 땅의 이름이라 하는데 근래까지 내려오다가 농지 분배 때 없어졌다. 세조가 오대산 상원사에서 문둥병 치료를 위해 열심히 불공을 드릴 때 였다. 하루는 법당으로 들어가려는데 절에서 키우던 고양이가 세조의 도포자락을 물어뜯고 잡아당기기에 이를 쫓으려는데 갑자기 돌개바람이 홱 불어와 법당 주렴이 걷히는데 얼핏 보니 비수를 든 자객이 숨어 있어 이를 종자로 하여금 잡게 했다. 고양이 덕분에 목숨을 건지게 된 세조는 고양이에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묘전과 묘답을 하사하여 그 은혜를 갚았다고 한다. 이와 같은 묘사전 전설은 진부면 동산리와 간평리에도 전해지고 있다.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43

    추가 정보

    이미지 넣기

    많이 읽은 기사

    이 시각 주요 뉴스

    페이징

    이전
    1 ··· 1856 1857 1858 1859 1860 1861 1862 ··· 2035
    다음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 주소 foresttory@naver.com
    평창신문 │등록번호 : 강원, 아00236 │발행·편집·청소년보호책임: 김동미 │주소: 중앙로126│전화 (010)4273-5711│등록 : 2018. 3. 20│최종편집:21.4.06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