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신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평창신문

메뉴 리스트

    • 분류 전체보기
      • 뉴스
        • 강원뉴스
        • 평창뉴스
        • 주요뉴스
        • 영상뉴스
        • 육아,학교
        • 기획&상상
        • 군민정보
        • 의회소식
        • 문화소식
        • 읍면,기관
        • 종합뉴스
        • 문학광장
        • 동화연재
        • 건강정보
        • 구인구직
        • 광고시안
        • 평창신문
      • 광고&이슈

    검색 레이어

    평창신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이야기] 평창 용평면 전설 (호랑이를 물리친 현명한 여인)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용평면 전설 (판관대와 궁궁소 진정동의 유래)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용평면 전설 (구룡소)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용평면 전설 (반쟁이)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용평면 전설 (금당산의 유래)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용평면 전설 (구룡소)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용평면 전설 (폭포소의 거인 발자국)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용평면 전설 (신선바위의 유래)

      2017.09.06 by _(Editor)

    [이야기] 평창 용평면 전설 (호랑이를 물리친 현명한 여인)

    호랑이를 물리친 현명한 여인 옛날에 친정 아버지가 재너머 살았는데, 딸은 이 쪽 재너머에 살고, 그 아버지가 죽을 때가 돼서 앓아서 갈라고 그랬는데, 그 재를 여자들이 넘어가면 호랑이가 잡아간다고 그러더래. 하나도 재를 넘어 가지 못해 한 참 밤인데 방자구토로 아버지가 죽을 때가 다 돼어서 운명직전이라 꼭 가야될 형편인데, 그 재를 넘어가자니 호랑이 한테 잡힐 것 같고 하이튼 그 재만 넘어가면 호랑이가 잡아 간단 말이야. 그래서 이 여자는 가만히 생각하니 비는 오지, 밤길이 무섭긴 하지 갈라니 갈 방법이 있나. 그래서 입에다가 횃불을 물고 옷을 훌떡 벗고 까꾸로 기어 내려 갔데요. 그러니까 호랑이가 딱 나와 있더래요. 호랑이가 딱 보니 세상의 입은 짐승이고 다 가로로 째져 있는 데 저것을 보니 세로로 째..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4:10

    [이야기] 평창 용평면 전설 (판관대와 궁궁소 진정동의 유래)

    판관대와 궁궁소 진정동의 유래 신사임당이 그 때 당시의 율곡 선생이 잉태한 시기인데, 신사임당이 강릉에 계셨는데, 계시면서 원수공은 서울에 있는 판관으로 계시면서, 그 당시의 판관대에 집을 얻어 계시고, 서로 거기서 드나들었어요. 그 당시가 율곡 선생이 잉태한 시기인데, 마침 그때에 신사임당은 강릉에 사셨고 원수공은 서울에 살았는데, 이 때 서로 왕래하면서 이 두부부가 율곡 선생을 잉태했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사임당이 그 쪽에 사실 때 거주해 오던 고장이 있습니다. 그 앞에 강이 있는데 강가에 궁궁소가 있습니다. 몸궁, 씻을숭이라 하여 궁궁소라고 하는 곳이 있습니다. 거기에 가보면 옆에 움툼한 바우가 있습니다. 거기에 들어앉으면 밖에 사람들이 안 보이고 거기서 사임당이 몸을 씻는다고 해서 궁궁소라는 얘기..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4:09

    [이야기] 평창 용평면 전설 (구룡소)

    호랑바우, 용바우, 거북바우 호랑바우는 판관대 바로 옆에 있습니다. 그 밑에 마을에 내려와서는 본동에는 용바우라는 게 있습니다. 또 지금은 2리가 되었습니다마는 백옥포리가 있는데, 거기에는 거북바우가 있습니다. 거기 가면은 거북바우가 이렇게 내려다 보고 있으면서 마을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본동에 있는 용바우는 용이 위쪽으로 쳐다보고 있는 형상이 있습니다. 그리고 호랑바우는 산에서 마을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우리 마을에는 맨 위에는 호랑이가 지키고 있고, 밑에는 용이 지키고 있고, 그 밑에는 거북이가 지키고 있습니다.그렇게 해서 유명한 바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 백옥포리가 봉평면 초대 면소재지입니다.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4:08

    [이야기] 평창 용평면 전설 (반쟁이)

    반쟁이 옛날에 주막집이 있었잖아요. 원주 사령관이 일이 있을 적에 원주서 강릉 가는데 반이 걸린다고 하여 반쟁이라고 했다고 하고, 대관령에도 반쟁이가 있다고 하고 반쟁이는 대관령과 대화에도 있다고 합니다. 반쟁이라고 하는 것이 무엇이냐면 그전에는 군과 군거리가 구십리라고 해쳐나갔다고 해요. 그런 기점으로 해서 구십 리의 반 쁨 된다고 해서 그래서 반쟁이라고 이름이 불리어 졌습니다. 그러니까 평창군과 강릉이 된다고 예측을 하지요. 그래서 강릉에서 평창이 구십 리, 평창서 영월이 구십 리, 또 영월서 원주가 구십리, 원주에서 제천이 구십 리로 이어집니다. 그 사이에 군과 군 거리가 구십리인데 그 사이가 반쟁이라고 합니다. 대부분 반쟁이가 역전이라고 하죠. 강릉서 구산이 또 역전이죠.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4:07

    [이야기] 평창 용평면 전설 (금당산의 유래)

    금당산의 유래 쇠 금 자에 무리당 자를 써서 금당산이라 불러요. 요산이 조금 동떨어진 산이라고 해요. 6.25사변 후에 그 산에 불이 나서 여기 전체가 다 탔어요. 폭탄이 떨어지고 날이 뜨거워지니 폭탄들이 다 터져서 불이 났단 말이야. 다른 산은 불이 났는데 이 산만은 불이 안 났단 말이야. 불이 활활 타도 사람이 끄러 가기 전에 저절로 꺼져버려요. 그래서 이곳을 유명한 산이라고 생각하고 사람이 안 가도 저절로 불이 꺼지는 산이라 그래서 이 산이 유명한 산이다. 금당산에 산제당이 하나 있는데 관리를 안해서 없어 졌는데 물 하나는 제일 좋죠. 아무리 더운 날 가도 그 물은 손이 시릴 정도로 시원하대요. 그 물을 상수도로 물을 끌어 쓰려고 작정을 했지. 물 있는 곳은 재산 상류지로 지정을 했어요. 거기에는 ..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4:07

    [이야기] 평창 용평면 전설 (구룡소)

    구룡소 대화면 소재지에서 약 7㎞쯤 걸어가면 개수천에 자리잡고 있는 구룡소라고 불리우는 곳이 있다. 깊이가 5m가 넘는다는 이 소에 얽힌, 다음과 같은 얘기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옛날 이곳을 지나가던 장례 행렬이 있었는데 상여를 맨 사람들이 매우 덥고 피로하여 잠깐 쉬는데 갑자기 자리가 꺼지며 깊은 구덩이가 파여 상여가 땅 속으로 깊이 빠져버리고 말았다는 것이다. 상가에 온 손님들과 상여를 멨던 사람들이 모두 놀라 있으려니까 난데 없이 물이 솟아오르고 아홉 마리의 용이 나타나더니 하늘로 올라가더라는 것이다. 그후 이곳에 깊은 소가 생겼는데 이곳에서 아홉 마리의 용이 나왔다하여 구룡소라고 부르며 이 마을 이름도 구룡소 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4:06

    [이야기] 평창 용평면 전설 (폭포소의 거인 발자국)

    폭포소의 거인 발자국 거기 가면은 꽤 큰 바우가 하나 있는데 간격이 넓거든요. 거기가 원래 장수동인데 거기서 옛날 할아버지가 소 보그래를 가지고 강을 건널려고 하는데 소거그래면 엄청나거든요. 그러니까 그게 소가 양쪽에 매고 가는 것인데 꽤 무겁거든요. 근데 물을 건너지 못해서 소를 먼저 보내고 자기가 제래보거래를 메고서 건너 뛰었다는 얘기지. 그게 아주 장사라는 얘기지. 지금 가보면 발자국도 자리가 났다라고 그러더라고. 그전에는 좁았는데 지금은 깊어 졌어. 그래가지고 폭포소라고 부르게 됐지.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4:05

    [이야기] 평창 용평면 전설 (신선바위의 유래)

    신선바위의 유래 용평면 용전리 용전국민학교 학교림을 따라 남쪽으로 500m쯤 올라가면 시원한 정상에 다다르고 이곳에 크고 넓다란 신선바위가있다. 옛날 이 바위의 이름은 화산바위 또는 말바위로 불리워 졌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툭하면 이곳 용전마을에 산불이 일어나곤 하였다. "어이쿠! 또 불이야! 산신령이 노하신게야" "무슨 수를 써야지 이대로 가다간 정말 큰일이야" 마을 사람들은 자꾸만 계속되는 뜻하지 않은 화재 때문에 불안감을 감출 수 없었다. 그리하여 동네의 어른들이 한데 모여 대책을 논의하게 되었다. 마침내 산신령의 노여움을 풀기 위해 커다란 제사를 지내기로 합의가 되어 항아리에 소금을 가득 넣어 화산암밑에 묻은 후 정성을 다해 제물을 차려 놓고 빌었다. 정말로 산신령의 영험이 있었는지 그로부터 이곳..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4:05

    추가 정보

    이미지 넣기

    많이 읽은 기사

    이 시각 주요 뉴스

    페이징

    이전
    1 ··· 1855 1856 1857 1858 1859 1860 1861 ··· 2035
    다음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 주소 foresttory@naver.com
    평창신문 │등록번호 : 강원, 아00236 │발행·편집·청소년보호책임: 김동미 │주소: 중앙로126│전화 (010)4273-5711│등록 : 2018. 3. 20│최종편집:21.4.06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