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신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평창신문

메뉴 리스트

    • 분류 전체보기
      • 뉴스
        • 강원뉴스
        • 평창뉴스
        • 주요뉴스
        • 영상뉴스
        • 육아,학교
        • 기획&상상
        • 군민정보
        • 의회소식
        • 문화소식
        • 읍면,기관
        • 종합뉴스
        • 문학광장
        • 동화연재
        • 건강정보
        • 구인구직
        • 광고시안
        • 평창신문
      • 광고&이슈

    검색 레이어

    평창신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이야기] 평창 대관령면 전설 (호환이야기)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대관령면 전설 (용산의 유래)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대관령면 전설 (양평리 서낭제)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대관령면 전설 (대관령 산신당)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대관령면 전설 (횡계와 발왕산의 지명유래)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대관령면 전설 (대관령의 명당 연화부수)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진부면 전설 (점두산의 유래)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진부면 전설 (만과봉)

      2017.09.06 by _(Editor)

    [이야기] 평창 대관령면 전설 (호환이야기)

    호환이야기 삼양축산 그 아래 목장이 있는데, 지금같이 큰 길도 없구. 참 가난한 사람들만 살았으니깐, 강릉이고 그런데 살다가 옛날에 돈벌이도 없고 그러니까 화전 해가지고 먹고 살고 그런 때인데, 감자 심거 놓니, 화전 좀 해서 감자 심거 놓니 산돼지들이 자꾸 들어와 파먹고 그러니 산돼지 잡으려고 막을 쳐놓고 지키다가 호랑이한테 물려가 살은 사람이 있어. 잠이 참 깊이 들었는데 이리 잠을 깨보니 물려가더란 말이야. 허벅지를 물려 끌려가는데 손을 이렇게, 우리 호랭이한테 물려도 정신만 채리면 산다고 하잖아. 이 사람 끌려가면서 땅을 이리 짚으니 나무작대기가 짚이더라는 거야. 그래서 그 작대기로 호랭이를 한 대 잡아 치니까 그 호랭이가 내놓고 저기로 내빼더라는 거야. 그래가지고 살아가지고 그 양반이 참 오래 ..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4:37

    [이야기] 평창 대관령면 전설 (용산의 유래)

    용산의 유래 어, 이 동네엔 사람이 옛날부터 별로 없었어. 평안도서 이북이 그게 뭐냐, 우리와 사상이 다른 사람. 여기는 자손 양성 할 데가 못 된다 해서 다 남으로 나오다가 우리 할아버지도 용산에 그 산골에 오게 됐는데 피난처로 온 건데, 그러니까 한 백 오륙십 년 전 얘기지. 용이 거기서 올라가서 용산이 됐다, 그런 얘기는 내가 대충 들은 게 있는데, 평안도서 나온 사람이 옛날에 그 할머니가 용산 2리에 손자를 데리고 넘어오는데 어느 구덩이에서 큰 뱀이, 구렁이지. 그게 나타나서 조그만 손자가 저거 뱀이라고 소리지르니 할머니가 야 그게 뱀이 아니라 용이다 하면서 용이 되라고 진언하면서 지나갔대. 집에 넘어오자마자 그 재를 넘어서 돌아왔는데 갑자기 구름이 시꺼먼 구름이 왔는데 용이 궁뎅이는 보이고 용이..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4:37

    [이야기] 평창 대관령면 전설 (양평리 서낭제)

    양평리 서낭제 권장군 서낭당은 여기에는 없고 강릉 가야 있을 기야. 아마, 양양이나, 이런 지방에 있는 산신은 다 남자 산신이야. 큰 산에 올라가야 산신이 여자 산신이고 그렇지. 우리가 본 것도 아니고 그냥 듣고 그런 유랜데 그리 들었어. 예를 들어 산신제를 올해 못하게 됐다 아니면 산신제를 드리다가 부정한 일을 했다 그래서 마을에 해가 되거나 그런 것도 있다고 생각하고 있지. 옛날에 그, 이 동네에도 저 건너 양평 들어가는 데 다리 건너 거기에 서낭이 있었는데 한때는 제를 안 지냈다구. 그러니까 살인 사건이 많이 나고 계속 살인 사건이 일어나고 젊은 사람들이 많이 죽고 이러니깐 다시 무속에서 무속을 취급하는 사람들이 이거는 산신제를 안 지내서 그런거다 그래서 산신제를 지내게 되고.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4:36

    [이야기] 평창 대관령면 전설 (대관령 산신당)

    대관령 산신당 여기는 대부분 산신당이라 해서 산신을 모시지. 요즘은 대부분 모시지 않는데 혹간 가다보면 그래도 지방 사람들이 옛날 어른들의 것을 숭배하는 데는 남아 있고, 그런데 특이하게 서낭당에 유명한 것은 옛날에 여기가 강릉군이었었으니까 서낭당이 대관령 가는 데에 있는데 성황을 모시는 사람이 거의 강릉 사람들이 모시거든. 여기 사람들이 모시는 게 아니라 옛날에 강릉군이니까 강릉 사람들이 평창에 와서 지내는데 5월 단오에 강릉서 5월 단오행사를 하는데 성황이 여성황이다 해서 강릉도 접해 놓고 음력으로 4월 보름날 모셔놓고 안치시켜 놓고 5월 단오 날 행사를 하는 거, 중요하지. 무형문화재라니까 중요한 건데 평창군에 있지만 강릉군에서 주로 행사를 해. 옛날에 강릉군이었을 때 생겼기 때문에 그렇게 하고 있어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4:36

    [이야기] 평창 대관령면 전설 (횡계와 발왕산의 지명유래)

    횡계와 발왕산의 지명유래 마을 이름이 어떻게 맹글어진지는 모르지. 옛날에는 이 도암면이라는 데 자체가 우리가 알기에도 백 몇 십년 전까지만 해도 사람이 없었어. 한 백 오십 년 전만해도 집이 몇 집 없었다구. 여기가 다 강릉군이야. 강릉군이 장평 저쪽까지 긍릉군이었다구. 평창군이 새로 생기면서 저 짝 진부 저 짝으로는 평창군으로 속하고 여기는 정선군으로 속했었다구. 정선군에 속했다가 그 때는 여기 사람이 별로 안 살았어요. 정선군에 속해 있다가 저쪽은 평창군에 속해 있다가 여기는 나중에 평창군으로 속해졌구. 아니, 횡계리라는 데는 예전부터 있었구, 지명은 옛날부터 되 있었다구. 지명은 우리가 언제부터 생겼는지 확실히 모르지. 스키산 있는 발왕산도 옛날엔 임금 왕자의 발왕산이여. 그런데 왜정 때 일본인들이..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4:35

    [이야기] 평창 대관령면 전설 (대관령의 명당 연화부수)

    대관령의 명당 연화부수 요즘 지관이라는 것은 옛날이랑 다르거든. 옛날에는 한국이라는 나라가 산맥이 좋은 데에다 묘를 쓰면 발복이 난다해서 주로 산맥을 따르고, 지관을 하면은 산맥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운, 복잡한데 옛날에는 산맥을 타서 지관을 잡았지. 근데 요즘 지관은 그런게 아니야. 옛날처럼, 옛날에는 국림(사유림)이든 사유림이든 좋은 자리를 택해서 이제, 묘를 쓰곤 했는데 요즘은 옛날과 다라서 본인이 땅이 이 만큼 있으면, 만약에 100평이 있다 그러면 이 그 땅에 잡아야겠다 그래가지고 요즘은 운만 봐주는 기야. 운만 봐서 그렇게 해주지 산맥을 봐서 하는 게 아니야. 명당이라는 것이 지금 여기에는 별로 없어요. 없는 기 왜 그러냐 하면 워낙에 산이 높고 이러니까, 사람도 이 앞부분에 있단 말이야. 여..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4:35

    [이야기] 평창 진부면 전설 (점두산의 유래)

    점두산의 유래 어, 그게 인제, 요 앞에 보이는 뫼가 인제 있는데, 그 뫼는 인제, 물이 올라서 홍수가 나면 바가지를 엎어 놓은 것 만틈만 나와. 꼭 그 만큼만 보이거든. 해서 뫼이름이 박지산이야. 그리고 또 그 저짝에 옆에 있는 뫼는 점두산이야. 왜냐면 인제 그게 누에잠인데 누에 머리맹끼로(처럼) 보인다 해서 점두산이야...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4:27

    [이야기] 평창 진부면 전설 (만과봉)

    만과봉 진부면 간평리 월정거리가 있는 곳에 만과봉이라고 하는 조그마한 봉우리가 있다. 이곳에는 큰 만과봉과 작은 만과봉의 두 개가 있는데 작은 만과봉은 길 옆 논에 위치한 것으로 높이 3.35m, 너비 26.50 22.0m인데 세조와 관련된 전설을 갖고있다. 옛날 세조가 상원사에서 문수동자를 보고 문둥병을 고치게 되자 세조는 이곳을 떠나기에 앞서 월정거리에 있던 조그마한 봉우리(작은 마을) 위에 자리를 잡고 과거를 보게 하였다. 그러나 깊은 산중에서 공부를 하던 서생들은 옳지 못한 세조의 벼슬을 하지 않으려고 모두 숨어 버렸지만 초학자들과 강릉을 중심으로 한 인근에서 공부하던 사람들이 물밀듯이 몰려와 과거에 응시하였는데 이 때 응시한 사람은 전부 벼슬을 주었다고 하며 과거에 응시시킨 인원이 만명이었는데 ..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4:26

    추가 정보

    이미지 넣기

    많이 읽은 기사

    이 시각 주요 뉴스

    페이징

    이전
    1 ··· 1853 1854 1855 1856 1857 1858 1859 ··· 2035
    다음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 주소 foresttory@naver.com
    평창신문 │등록번호 : 강원, 아00236 │발행·편집·청소년보호책임: 김동미 │주소: 중앙로126│전화 (010)4273-5711│등록 : 2018. 3. 20│최종편집:21.4.06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