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신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평창신문

메뉴 리스트

    • 분류 전체보기
      • 뉴스
        • 강원뉴스
        • 평창뉴스
        • 주요뉴스
        • 영상뉴스
        • 육아,학교
        • 기획&상상
        • 군민정보
        • 의회소식
        • 문화소식
        • 읍면,기관
        • 종합뉴스
        • 문학광장
        • 동화연재
        • 건강정보
        • 구인구직
        • 광고시안
        • 평창신문
      • 광고&이슈

    검색 레이어

    평창신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세조와 문수동자)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메밀꽃과 호랑이)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도둑바위)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강감찬과 우물)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도꾸(도끼)소)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버섯봉)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청수골의 유래)

      2017.09.06 by _(Editor)

    •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도깨비에 홀린 이야기)

      2017.09.06 by _(Editor)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세조와 문수동자)

    세조와 문수동자 조선 제 7대 세조(수양대군)는 세종의 둘째 아들이자 문종의 아우로서 1425년 문종이 승하하고 왕위가 어린 조카 단종에게 돌아가자 측근인 한명회 권남 등의 권유에 의하여 1455년 마침내 김종서 황보인 등을 죽이고 단종을 몰아 낸 후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그 후 단종의 복위운동을 했다하여 성삼문 등 사육신을 무참하게 죽이고 영월 청령포에 유배됐던 단종 마저 사약을 내려 죽이고 말았다. 이러한 그의 비인간적인 행동은 세인의 비난의 대상이 되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왕권강화와 학문 장려 등의 정책을 펴 나갔지만 어린 조카와 많은 신하들을 죽인 것으로 인하여 항상 불안감과 죄의식속에서 생활하였다. 어느날 밤 꿈에 단종의 어머니이며 문종의 아내되는형수가 나타나서 세조를 호되게 꾸짖다가 "에..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42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메밀꽃과 호랑이)

    메밀꽃과 호랑이 평창이 낳은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은 대화 봉평을 소재로 한 것으로도 너무도 유명한 소설이다. 달밤에 핀 메밀꽃을 보고 하도 하얘서 어떤 사람은 이를 냇물로 알고 바짓가랑이를 걷고 지나갔다는 말이 있다. 먼 옛날 산중에 홀어머니가 오누이를 데리고 살고 있었다. 어느 날 그 어머니는 장을 보러 가다가 그만 호랑이에게 잡아 먹히고 말았다. 두 남매까지 탐이난 호랑이는 어머니 처럼 차리고 집으로 돌아 왔다. "얘들아 문열어라. 엄마다"하는 소리가 들렸지만 호랑이의 목소리였기에 오누이는 이상한 생각이 들어 손을 내밀어 보라고 했다. 오누이가 손의 털을 보고 엄마가 아니라고 하자 호랑이는 가시밭에 갔다 왔기 때문이라고 변명했다. 이에 속아 오누이가 문을 열어 주었더니 들어 온 것은 엄마가 아..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41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도둑바위)

    도둑바위 대화면 대화 5리를 지나 반정교에서 왼편으로 들어서는 몰이골이라는 골짜기가 있으며 이곳에서 4km 정도 떨어진 금륜산 능선에는 1km 가량의 거리를 두고 모양이 거의 비슷한 높이 40m 가량의 고개에 기이한 바위가 우뚝 솟아 있는데 이 두 바위를 가리켜 암수 도둑바위라고 부른다. 그 까닭은 옛부터 이 두 개의 바위너머로부터 도적이 자주 나타나 몰이골 부락민을 괴롭히고 또한 화재가 자주 발생하므로 도둑바위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곳 금륜산 기슭에 대덕사가 세워지자 이 사찰의 명칭에 따라 두 개의 바위를 암수 대덕바위로 고쳐 부른 후부터는 흉사를 찾아볼 수 없었다고 하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39

    [이야기] 평창 대화면 전설 (강감찬과 우물)

    강감찬과 우물 지금으로부터 900여년 전 고려 초 당대의 명장인 강감찬장군이 강릉에서 원주로 한여름에 행군중 대화면 하안미를 지날 때였다. 이 일대는 늘 물이 귀하여 봄 가을에는 식수로 고생을 했는데 마침 강감찬장군이 목이 말라 물을 긷는 아낙네에게 다가가서 물을 청했으나 아낙네가 인심이 고약하여 물이 없다고 거절하자 장군이 이를 괘씸하게 여겨 이 마을에는 다시는 물이 나오지 못하도록 부적을 한 장 써 붙이고 갔다. 그 후부터 이 마을에는 우물을 파도 물이 나오지 않는다하는데 요즈음도 아무리 우물을 파도 물이 나오지 않을 뿐 아니라 한발이 조금만 있어도 강바닥이 마르기 일쑤이며 하안미에 사는 사람들은 그 때의 인심으로 지금도 놀림을 당하고 있다.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3:39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도꾸(도끼)소)

    도꾸(도끼)소 여 올라가면 도꾸소라는 소가 있고, 소가 이젠 다 매켜(막혀) 가지고 다리 놓아 깊지 않아요. 전설에 도꾸소라 그러는데 벼랑에서 나무 베다가 저기 이렇게, 옛날에 도꾸로 나무 베었잖아요. 도끼로 나무 베다가 도끼가 소로 뚝 떨어진가봐. 그렇게 전설을 부르더라구요.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2:09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버섯봉)

    덕수바우와 버섯봉 전설에 보면 덕수라는 분이 석이버섯을 따다가 떨어져서 사망돼서 덕수바우라고 전설을 붙인가 보더라구요. 하방림 내려가다보면은 버섯봉이라고 있죠. 버섯봉이라고 하는 것은 옛날 밭가는 버섯처럼 생겼기 때문에 바우가 버섯봉이라고 해요.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2:07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청수골의 유래)

    청수골의 유래 그 옛날에, 머 저 고을이 들면 고을이라고 그래, 고을이 옛날엔 원이잖아요. 원이 있으면 창을 갖다 두는 데가 있다대요. 창수동이라고 옛날 어른들이 그러더라구만. 계촌 3리 가면 거 옛날에 향교 터라고 그러는데, 지금도 향교 터라고 써놨죠. 향교가 거(거기)있었다구(해서)향교 터이고, 여긴 창 터다, 창 터가 여(여기) 있어서 창동이라고 그래요.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2:07

    [이야기] 평창 방림면 전설 (도깨비에 홀린 이야기)

    도깨비에게 홀린 이야기 어머니는 11살 먹어 돌아가시고 아버지는 7살 먹어 돌아가시고. 그리고 우리 아버지가 용바위가, 방앗간이 있었는데 거기 갔다오다가 방아 찧어 갔다오다가 쌀을 찧어 한가마니 지고 홀려 가지고, 도깨비한테 홀린가 봐요. 그래 가지고 저 산을 다 헤매가지고선 날이 샜는데, 새벽여물 끓이는데, 불이 훤하고 대내에서 부엌에서 불을 떼니 불이 환하게 비춰 가지고 불을 보고 내려왔대요. 앓다가 8월 달에 돌아가셨어요.

    카테고리 없음 2017. 9. 6. 12:02

    추가 정보

    이미지 넣기

    많이 읽은 기사

    이 시각 주요 뉴스

    페이징

    이전
    1 ··· 1857 1858 1859 1860 1861 1862 1863 ··· 2035
    다음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 주소 foresttory@naver.com
    평창신문 │등록번호 : 강원, 아00236 │발행·편집·청소년보호책임: 김동미 │주소: 중앙로126│전화 (010)4273-5711│등록 : 2018. 3. 20│최종편집:21.4.06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