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권 맞춘 선거구 필요성, 주민들 목소리 커진다”
평창군의 광역의원 선거구를 현행 방식으로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과거처럼 남부와 북부로 단순하게 나눌 것인지를 두고 지역사회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평창군은 내년 지방 선거를 위해 두 개의 선거구로 나뉜다. 가 선거구는 평창읍, 미탄면, 방림면, 봉평면으로 구성돼 있으며 인구는 25년 8월 기준 17,773명이다. 나 선거구는 대화면, 용평면, 진부면, 대관령면으로 묶여 있으며 인구는 22,140명이다.
과거에는 봉평면이 북부에 속해 있었다. 과거처럼 가 선거구를 평창읍, 미탄면, 방림면, 대화면으로 구성할 때 17,183명을 보이고, 나 선거구는 봉평면, 용평면, 진부면, 대관령면으로 22,730명을 보였다. 두 방식 모두 헌법재판소가 정한 인구 편차 기준인 33.3% 이내에 해당해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8월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현행 선거구의 인구 편차는 약 4,367명(19.7%)이며, 과거 선거구의 인구 편차는 약 5,547명(24.4%)로 나타났다. 현행 방식이 인구 균형 측면에서는 다소 유리하지만, 과거 방식 또한 법적 기준을 충족하는 만큼 제도적 문제는 없는 상황이다.
생활권과 대표성 측면에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평창읍과 대화·미탄은 군청을 중심으로 한 생활권을 공유하는 남부 지역이며, 진부·대관령·용평·봉평은 관광지와 영동권과의 연결성이 강한 북부 지역이다. 이 때문에 단순히 남부와 북부로 나누는 방식이 오히려 주민들의 생활권을 반영하는 합리적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
지역 선거제도에 정통한 관계자는 “법적으로도 인구 편차 기준을 충족하고 생활권까지 고려할 때 남부와 북부로 단순 구분하는 안도 충분히 타당하다”며 “결국 주민 수용성과 정치적 합의가 향후 결정에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