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데스크에서] 늙어가는 ‘농촌’ 돌파구 마련이 필요하다

뉴스/평창뉴스

by _(Editor) 2015. 5. 25. 11:35

본문

300x250
반응형




농촌지역의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달 17일 발표한 ‘2014년 농림어업조사 결과’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12월 1일 기준 전체 농가는 112만1000가구, 농가인구는 275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 3.4% 하락한 수치다. 특히 농촌 인구 10명 가운데 4명은 65세 이상으로 조사됐다. 농가 가구주의 평균 연령은 65.5세 이상으로 1년 사이 1.1세나 오르는 등 농촌 고령화가 가속되는 양상이다. 


농촌진흥청은 최근 귀농·귀촌인 1000여명을 대상으로 ‘귀농을 한 이유’를 조사한 결과, 31%가 ‘조용한 전원생활을 위해서’라고 답했다. 24.8%는 ‘도시 생활의 회의를 느껴서’라고 응답했고, 24.3%는 ‘은퇴 후 여가 생활을 위해서’라고 말했다. ‘새 일자리나 농업·농촌 관련사업을 위해서’라는 의견도 22.2%로 나타났다. 


귀농·귀촌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으로는 ‘여유 자금 부족’이 47.2%로 가장 많았다. 27.4%는 ‘영농 기술 습득’을 꼽았다. ‘농지 구입’의 어려움을 겪은 이도 25.5%나 달했다. 이 밖에도 ‘생활 여건 불편’이 23.8%, ‘지역 주민과의 갈등’이 16.1%를 차지했다. 이들 가운데 45.4%는 귀농·귀촌을 대체로 만족한다고 응답했지만, 49.6%는 ‘아직 모르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귀농·귀촌을 결정한 이들의 직업 역시 자영업자, 사무직, 행정·경영·관리자, 기능직, 판매 서비스직 등 다양하게 구성돼 있다. 


농진청에서 수집한 이 데이터는 고령사회로 몸살을 앓는 농촌지역에 숙제를 던져줌 셈이다. 각 지자체는 인구유입을 통해 새로운 지역경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반면 지금과 같은 급격한 고령화를 방관하다가는 위기의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 


이제 농촌의 변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일본은 이미 고령사회 진입을 통해 성장통을 앓고 있다. 이들이 겪고 있는 진통은 한국사회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이들의 진통을 반면교사 삼아 한국 농촌이 새로운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때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고정관념을 과감하게 탈피해 ‘틀’을 벗어나야 한다. 선진 행정을 과감하게 받아들이고, 산업간 융합을 통해 농촌지역의 활력을 불어 넣어야 한다. 농촌이 ‘보수적’이라는 기존의 인식이 바뀌어야 진정한 농촌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