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로 인한 폭염이 장기화되면서, 평창군 각 읍면에서도 다양한 폭염 대응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응 활동이 대부분 시가지 중심에 집중되어 있어, 실제 폭염 취약 계층이 밀집한 농작업지·경작지 등에 대한 현장 대응은 미흡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대관령면 지역자율방재단은 지난 7월 29일 시가지 일원을 중심으로 살수차를 운행했다. 주택 및 상가 밀집지역, 차량 통행이 많은 구간에서 도로면 온도를 낮추기 위한 조치였다.
방재단은 이번 활동을 통해 주민 체감온도 저하에 도움을 주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해당 활동은 도심부 위주로 이뤄졌으며, 지역 내 고령 농업인이 활동하는 논밭, 비닐하우스 등 농작업지에는 직접적인 살수나 냉방, 순회 보호 활동이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봉평면에서는 면장이 마을을 순회하며 얼음물을 제공하고 낮 시간대 농작업 자제를 계도하는 활동을 진행하였다. 이는 직접적인 작업지 보호는 아니었지만, 농민 대상 예방 계도 중심의 대응이었다.
반면, 다른 읍면에서는 공식적으로 확인된 폭염 대응 활동이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다.
현재 평창군은 건설현장·읍면사무소·경로당 등을 중심으로 무더위쉼터를 운영 중이며, 시가지 중심의 대응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폭염 노출 위험이 높은 대상은 야외 농작업을 수행하는 고령 농민, 하우스 작물 관리자, 간이 비닐막 작업자 등으로, 이들을 위한 그늘막, 냉풍기, 현장 순회지원 등 맞춤형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따라 본지는 다음과 같은 질의를 평창군에 전달하였으며, 8월 8일까지 회신을 받을 예정이다.
폭염 대응 예산의 읍면별 배분 기준
각 읍면의 폭염 예방 활동 및 실제 집행 내역
농작업지·비닐하우스 등 고온작업장 대상 맞춤형 보호 정책 여부
군 차원의 기후위기 대응 장기계획 내 폭염 대응 항목 반영 여부
향후 회신 결과를 바탕으로, 농촌 기반 지역의 폭염 대응 구조와 평창군의 시책 적용 실태를 추가 보도할 계획이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