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관광 르네상스” 비전 제시… 춘천 타운홀미팅서 균형발전 해법 모색
이재명 대통령이 12일 강원특별자치도를 찾아 네 번째 ‘타운홀미팅’을 개최했다. 행사에 앞선 개회사에서 대통령은 “수도권 과밀과 지방 소멸을 동시에 풀어야 하는 것이 우리 시대의 과제”라며 “특히 군사 규제로 특별한 희생을 감내해온 강원 주민들에게는 특별한 보상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강원을 세계적 관광도시이자 균형발전의 모델로 키우겠다”며 정부의 강한 의지를 밝혔다.
이날 회의는 문화·관광 전략, 교통 인프라 확충, 군사시설 보호구역 규제 완화 등 굵직한 의제를 중심으로 1부 정부 발표와 2부 도민 의견 청취로 나눠 진행됐다. 현장에는 ‘수도권 과밀과 지방 소멸을 함께 풀자’, ‘특별한 희생엔 특별한 보상’이라는 기조가 관통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강원을 평화·힐링·해양·문화의 4대 관광벨트로 묶는 청사진을 내놨다. DMZ 평화트레일을 중심으로 한 평화문화 벨트, 숲과 바다 명상과 슬로푸드가 결합된 힐링 벨트, 양양 서핑과 동해·삼척 해양레저 중심의 해양레저 벨트, 춘천·원주를 거점으로 한 문화관광 허브가 핵심이다. 특히 관광의 경제효과를 ‘생활인구’ 개념으로 설명하며, 지난해 8,800만 명 방문으로 실질 인구가 142만 명 늘어난 효과를 냈다고 강조했다.
국토교통부는 강원의 강점으로 수도권 인접성과 천혜의 자연을 꼽으며 교통망 재편 필요성을 강조했다. 춘천~속초 고속철도, 강릉선 수송력 확충, GTX 춘천·원주 연장, 내륙 고속도로 및 영월선 확충 등이 주요 과제로 제시됐다. 도시별로는 춘천을 에너지·바이오·데이터 산업 클러스터로, 원주는 의료·헬스케어 중심지로, 강릉은 ITS 세계총회를 계기로 국제적 첨단산업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국방부는 군사시설 보호구역 규제를 단계적으로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민통선 북측 완화, 군 공항 주변 인허가 지방 위임, RFID 기반 통제체계 도입, 유휴 군부지의 지방 환원 등이 주요 내용이다. 다만 안보와 지역 발전의 균형을 고려해 행정 완화와 법 개정을 병행하겠다고 했다.
한 주민은 대통령에게 “인턴십을 마치고 오늘부로 정식 직원이 됐다. 앞으로 5년 계약 기간 동안 성과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통령은 고개를 끄덕이며 “여러분의 노력이 강원 발전의 힘이 될 것이다. 정부도 뒷받침하겠다”고 화답했고, 주민들은 박수로 답했다. 대통령과 도민의 문답은 티키타카처럼 자연스럽게 이어졌고, 현장 분위기는 더욱 고조됐다.
도민들은 강원특별자치도의 권한 강화, 접경지역 규제 완화, 금강산 관광 재개, 과잉관광 방지와 환경 보존, 원주 구도심 소외 해소, 설악산 케이블카·춘천 중도 유적 등 개발 논란 재검토, 문화·교육 기반 확충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해양 분야에서는 국제 마리나 건립과 규제 정비가, 내륙에서는 폐광 기록 보존과 농업 정책 개편이 제안됐다.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 “수도권 과밀과 지방 소멸을 동시에 해결하려면 기회의 분산과 공정한 보상이 필수”라며 “특별한 희생엔 특별한 보상” 원칙을 재확인했다. 이어 “강원을 세계적 관광도시이자 균형발전의 모델로 키우겠다”고 강조하며 지속적 소통을 약속했다. 행사장을 떠나며 대통령은 “꼭 다시 오겠다”고 말했고, 도민들은 수준 높은 토론과 대통령의 공감 어린 답변에 만족감을 드러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