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 2026년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
신규 8개 지구 최종 선정
- 국비 173억 원 확보... 도내 8개 시군 879가구, 1,542명 직접적 혜택 -
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는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회가 주관한 2026년도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 공모에서 강릉시, 영월군 등 도내 8개 지구가 최종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도는 국비 173억 원을 확보, 향후 4~5년간 8개 시군, 879가구 1,542명의 도민이 직접적인 혜택을 받게 된다.
- 취약지역(농어촌․도시) 생활여건 개조사업 선정현황 -
구 분 | 신청 | 선정 | 사 업 비(백만 원) | |||||
합계 | 국비 | 도비 | 시군비 | 자부담 | ||||
2026년 (2025. 7월 선정) |
소계 | 11 | 8 | 25,642 | 17,294 | 2,060 | 4,827 | 1,461 |
농어촌(4년) | 7 | 4 | 9,928 | 6,599 | 758 | 1,770 | 801 | |
도시(5년) | 4 | 4 | 15,714 | 10,695 | 1,302 | 3,057 | 660 |
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향후 4~5년간 총 256억 원(국비 173억 원, 지방비 69억 원, 자부담 14억 원)을 투입하여, 취약지역의 안전 확보, 생활‧위생 인프라 확충, 주택 정비 지원, 일자리‧문화‧복지 등 휴먼케어, 주민 역량 강화 등 취약지역의 전반적인 정주 여건 개선을 종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2026년 지역별 국비 확보액은 다음과 같다.
- 농어촌 지역(4년간): 고성군, 양구군, 영월군, 정선군 각 16.5억 원
- 도시 지역(5년간): 강릉시 30억 원, 동해시 19.7억 원, 삼척시 24억 원, 춘천시 33억 원
신청지구 | 사업비(단위 : 백만원) | |||||
유형 | 시군 및 지구명 | 계 | 국비 | 도비 | 시군비 | 자부담 |
합 계(8개소) | 25,643 | 17,294 | 2,060 | 4,827 | 1,461 | |
농어촌 (4) |
소 계 | 9,929 | 6,599 | 758 | 1,770 | 801 |
고성군 현내면 거진6리 | 2,587 | 1,650 | 199 | 464.4 | 273.2 | |
양구군 국토정중앙면 적리 | 2,363 | 1,650 | 171 | 399 | 143 | |
영월군 한반도면 쌍용4리 | 2,542 | 1,649 | 212 | 494.7 | 186.4 | |
정선군 북평면 남평1리 | 2,437 | 1,650 | 176.4 | 411.7 | 198.8 | |
도시 (4) |
소 계 | 15,714 | 10,695 | 1,302 | 3,057 | 660 |
강릉시 주문진읍 주문4리 | 4,456 | 3,000 | 380 | 906 | 170 | |
동해시 묵호진동 등대마을 | 2,952 | 1,968.4 | 253.1 | 590.5 | 140 | |
삼척시 도계읍 전두1리 | 3,611 | 2,427 | 312 | 728 | 144 | |
춘천시 우두동 50호마을 | 4,695 | 3,300 | 356.6 | 832.2 | 206.4 |
올해는 지난해(농어촌 3, 도시 1개소 선정)보다 크게 확대된 총 8개 지구(농어촌 4, 도시 4)가 선정되었으며, 특히 도시 지역은 전국 17개소 중 4개소가 강원자치도에서 선정되어 23.5%를 차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도는 이번 성과가 도와 시군 간 긴밀한 협력과 체계적인 사전 준비, 전략적 대응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도는 공모 초기 단계부터 시군과 협업체계를 구축, 대상지 발굴, 신청서 작성, 평가 대응 등 전 과정에 걸쳐 실질적인 행정 지원을 제공해왔다.
특히, 2024년 8월부터 시군 실무자를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하고, 올해 초에는 전문가와 함께 대상지별 현장 컨설팅을 실시, 5월에는 중앙 평가를 대비한 모의평가를 진행하는 등 사업계획의 완성도와 선정 가능성 제고를 위해 다각도로 노력해 왔다.
김주용 강원특별자치도 지역소멸대응정책관은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은 가장 기초적인 생활 인프라조차 부족한 지역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대표적인 생활밀착형 정책”이라며, “앞으로도 도민 삶의 질 향상과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참고》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 | ||
◦ 주거 취약지역 주민의 삶의 질 제고와 기본 생활수준 보장을 위하여 안전·위생 등 생활인프라 확충 및 주거환경 개선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사업으로, ’15년~’23년까지 균형위에서, ’24년부터는 농림축산식품부·국토교통부에서, '25년부터는 다시 지방시대위에서 공모사업으로 추진 중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