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문자, 생명을 지키기 위한 행동의 시간
휴대폰이 울립니다. 또 실종문자입니다. 치매를 앓는 노년층, 연락 두절된 청년. 짧은 문장 속에 담긴 불안은 깊습니다. 실종은 더 이상 개인의 일이 아닙니다. 고령화, 고립, 국민 불신이 얽힌 사회적 위기입니다. 특히 노년층과 청년층에서 실종이 집중되고, 중년은 제외되는 이상한 패턴은 구조적 문제를 암시합니다. 이런 가운데 김예지 의원의 장기기증법 개정안이 실종 현실과 겹치며 국민 불안을 키우고 있습니다.
첫째, 실종문자는 사회 시스템의 병을 보여줍니다. 노년층은 치매와 스마트폰 미사용, 청년층은 우울과 경제적 압박, 단절이 실종의 원인이 됩니다. 반면 가족 연결이 강한 중년은 실종률이 낮습니다. 이 차이는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치매 관리와 정신건강 지원, 사회적 연결망의 허점입니다.
둘째, 국민 불안은 그냥 음모론이 아닙니다. 실종이 반복되며 장기 밀매 같은 극단적 추측이 나오지만, 그 이면엔 신뢰 없는 제도가 있습니다. 수많은 CCTV가 설치된 지금도 실종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기술과 법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는 겁니다.
이제는 바꿔야 합니다. 노인 실종을 막기 위한 캠페인이 절실합니다. 치매와 위치추적 기술의 중요성을 알리고, GPS 팔찌나 목걸이 보급, 스마트폰 교육, 이웃과 택시기사의 협조, 실종예방센터 설립 같은 실질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성인 위치추적도 바뀌어야 합니다. 현행법은 성인의 위치를 본인 동의 없이는 추적할 수 없게 합니다. 하지만 치매 환자나 납치 피해자에게 72시간의 초기 대응은 생사를 가릅니다. 긴급 위치추적 허용, 고위험군 등록제, 국가 GPS망 구축, 민간 앱 연동, “위치추적은 생명 보호”라는 인식 전환 캠페인이 함께 가야 합니다.
장기기증법도 국민의 신뢰 위에 서야 합니다. 본인의 의사만으로 가족 반대 없이 기증이 가능하게 하자는 개정안은, 실종자 보호에 대한 안전장치 없이는 오해와 불안을 부를 수 있습니다. 실종자는 기증 대상에서 제외하고, 의사 확인 절차를 강화하며, 장기 밀매 단속과 정보 투명성이 함께 가야 합니다.
실종문자는 지금 우리 사회의 균열을 알리고 있습니다. 생명을 지키는 사회로 바꾸는 건, 법과 제도, 그리고 우리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됩니다. 부모님 스마트폰에 위치 공유를 설정하고, GPS 장치를 채워드리며, 이웃을 살피는 마음이 실종 없는 대한민국의 시작입니다. 이제, 우리가 나설 시간입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