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5 년 지방자치단체 지방채 발행 8.5 조 원 규모 확정

뉴스/의회소식

by (Editor1) 2025. 1. 12. 17:56

본문

300x250
반응형

 

2025 년 지방자치단체 지방채 발행 8.5 조 원 규모 확정

지방재정 위기에도 정부의 지방채 인수 공공자금관리기금 2.6 조원에서 100 억원으로 줄여

허영의원 , “ 이렇게까지 지역의 가치를 무시하며 , 홀대하는 나쁜 정권은 처음 본다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 ( 춘천 · 철원 · 화천 · 양구갑 / 국회 예산결산위원회 간사 위원 / 더불어민주당 민생경제회복단 단장 ) 은 행정안전부로부터 각 지자체가 지방의회 의결을 거쳐 확정한 지방채 발행 규모를 취합 , 제출받고 이를 분석했다 .

 

자료에 따르면 17 곳의 광역자치단체와 226 곳의 기초자치단체를 포함 243 개의 지방자치단체 중 지방의회 의결을 거쳐 2025 년 지방채 규모를 확정한 지자체는 광역자치단체 17 곳 전체와 , 기초자치단체 30 곳 포함 총 47  ( 서울 서대문구의 경우 미확정 ) 으로 전체의 약 20% 에 해당하는 자치단체가 지방채 발행 계획을 확정지었다 .

 

47 곳 자치단체의 지방채 발행 예산액은 8  4,793 억 원에 달했고 , 이중 광역자치단체가 7  6660  , 기초자치단체가 8,133 억에 달했다 . 지방채 규모가 큰 지자체는 서울시가 1  9,339 억 원 , 경기도 1  2,862 억원 , 부산시 7,229 억원 , 충청남도가 5,787 억원 , 인천광역시 5,331 억원에 달했다 .

 

기초자치단체의 경우는 전주시가 1,520  , 시흥시가 959 억원 , 부천시 662 억원 , 안양시 590 억원 , 용인시 399 억원 순으로 지방채 예산 규모가 컸다 .

 

이미 정부는 23 년도 지방교부세와 지방교육교부금으로 18.6 조 원을 미교부한데 이어 , 24 년도에 또 다시 6.5 조원을 미교부했다 . 마땅히 교부해야 할 것을 미교부한 것은 그렇다치고 , 지방정부가 어려운 지방재정 여건에도 시급히 추진해야 할 사업을 위해 지방채 발행을 하는데 이마저도 안정적인 공공자금의 지원을 기대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 정부가 지방채 인수방안을 적극 강구하겠다고 밝혔으나 현재로선 공염불이 될 가능성이 높다 .

 

지방채 인수 지원을 위한 작년도 (2024  ) 기재부 공공자금관리기금 예산이 2.6 조 원이 편성되었고 이중 2.59 조 원이 집행이 될 정도로 수요가 많은 상황이었는데 , 정작 25 년도 해당 예산은 100 억 원으로 24 년 예산 대비 겨우 0.4% 에 불과한 수준이다 . 지방교부세도 6.5 조원이나 느닷없이 대규모로 감액되었는데 , 그나마 금리나 거치 기간 등이 유리한 안정적인 공공자금 지원도 기대하기 어려운 형편이 된 것이다 .

 

재산과세가 대부분인 지방세수 여건도 지방 부동산 불경기로 인해 쉽게 나아질 기미가 없으니 , 2025 년도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은 이중고 , 삼중고를 겪게 될 형편이다 .

 

허영 국회의원은  윤석열 정부에 과연  지역이 있기나 한지 ?’ 묻지 않을 수 없다  고 말하고 , “ 과거 이명박 , 박근혜 정부 당시에도 감세 정책으로 인해 지방자치단체에 재정난이 생기자 , 지방소비세 ( 부가가치세의 5%) 를 신설하고 , 지방소비세 비율을 상향 ( 부가가치세의 5% -> 11%) 하는 등 지방재정에 대한 보전 방안을 마련했는데 이 정부는 아무 대책도 없이 , 가뜩이나 어려운 지자체에 그 모든 부담을 다 넘기고 있다  고 강력히 질타했다 .

 

허 의원은  최근 경기도는 지방재정 위기로 인해 19 년 만에 지방채 발행에 나섰고 , 충청북도도 12 년 만에 지방채 발행에 나서는 등 , 지자체가 재정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고 말하고 “2025 년 지방자치단체는 8.5 조 원에 달하는 지방채 발행을 확정했는데 , 정부는 작년도 공공자금관리기금 예산을 2.6 조 원에서 올해 100 억 원으로 줄여 , 사실상 자치단체가 공공자금 지원을 통한 지방채 발행이 꽉 막혀 버린 상황  이라고 말했다 .

 

 ,“ 정부가 말로는 지방채 인수에 나서겠다고 얘기하면서 실상은  나 몰라라  하거나  지방정부가 각자도생  하라고 강요하고 있다    이렇게까지 지역의 가치를 무시하며 , 홀대하는 나쁜 정권은 처음 본다  고 말했다 .

 

끝으로 허 의원은  민주당이 먼저  민생경제회복단  을 운영하며 적극적인 재정의 역할을 마련하고 있고 그 일환으로 20 조 원 규모 이상의 추경 (  ) 도 단계별로 편성해 , 지역도 살고 중앙도 함께 사는 대책을 마련해 갈 것이다  라고 밝혔다 .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